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위수에 대한 복수

반응형

상앙은 전면적인 개혁조치를 취했으며 개혁의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백성들은 조직으로 편성되어 서로 감시하고 연좌책임을 지도록한다


범죄자를 고발하지 않는자는 요참형 처하며 고발하는 자는 적의 목을 잘라온것과 

동일한 상을 내리고 범죄좌를숨겨준자는 적에게 항복한 것과 똑같이 처벌한다



한집에 2명이상의 성인 남자가 있으면서 분가를 하지 않는 경우 두배로 세금을 두배로

징수한다 


공적을 세운 자에게는 그것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벼슬을 내린다 그러나 사사로이 싸움을 벌이는

자는 정도에 따라 응분의 벌을 받는다 

농사나 오감짜기등 생업에 열심히 종사하여 곡식과 비단을 많이 바치는 자에게는 부역을 면제한다


그러나 상업에 종사하거나 게을러 가난한 자는 노예로 삼는다 

비록귀족이라도 공적이 없으면 그 지위를 누릴수없다 신분의 서열은 확실하게 규정을 도고 각등급이 따라

토지와 가옥의 넒이 노비의 소유 의복의 종류를 분명히 제한단다




상앙은 이러한 개혁을 통하여 씨족제도의 타파를 목적으로 삼았다 즉 지배계급에 대해서는 특권층을

해체하여 왕권을 강화시켰으며 피지배계급에 대해서는 씨족공동체를 해체하여 소가족으로 만들고 이들 개인을 단위로 하는 납세 군역 치낭의 조직을 만들어 냈다 


실로 상앙의 이러한 개혁은 진나라가 장차 천하통일을 패도로 장악하는데 결정적인 기초를 닦아놓은것이었으며

전국시대의 약육강식이라는 상황속에서 부국강병의 확고한 토대가 상앙의 개혁조치를 통하여 이뤄졌고

이는 그렇지 못한 다른 나라를 결정적으로 압도해간 커다란 요인이었다



사실 상앙과 같은 시대에 살았던 유명한 오기 장군도 법체제를 강화하고 강병책을 도모하여 그가 봉사했던

위나라와 초나라도 진나라와 함께 선두주자로 나설수 있었다 그러나 중도에 오기가 군주의 신밍르 잃고 대신들의

질투와 모략에 실각됨으로써 기회를 놓치게 되었던것이다

상앙은 개혁조치를 발표하기에 앞서 백성들의 신뢰를 얻어야 된다고 생각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