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좋은글 게시판

호손실험과 비판들

반응형




호손실험과 비판들



호손실험이란  하버드 대학교에서 이루어진 실험으로 

시카고의  호손 공장에서  과학적 관리론   테일러의 동작연구가


과연  생산성 극대화에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검증실험이다

1 조명 2 연계조립  3 면접 4 관찰단계로써  근무조건이 


[호손실험 영상 및 인터뷰]

생산성을 늘려주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한 해답으로  꼭 그렇지

않다 라는 결론이 나오게 된다   생산제한 및 고충처리등을  



통해  직원들의  심적인  고민해결과  내가 회사의 소속이라는 

긍정적 소속감과  인간의 사회성과 심리적 요인을 파악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이로인하여  인간관계론  인권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하였으며   조직을 연구하고  



생산성을 늘리기 위해 반드시  생산에 필요한  조건만 좋은것이

아니라  인간관계에 대한  심리적 작용  고충처리등에  대한



처우가 반드시 개선되어야 한다는점이  포인트로 자리잡았다

이러한 실험은  인간의  내적인 감정적 부분이  없었기때문에


실험 자체로는  성공하지 못하였고  오히려 실패한 실험으로

봐도 무방하다.  결정적인 이유는  피실험자가  실험에  대한



사실을 이미 인지하고 있었으며  심리상태와  행동에 변화가

있었기 때문이다.  자기실현적  예측인  피그말리온과 달리


실험이라는것을  피실험자가 인지하게 되면서  이것을

호손효과라고 부르게 되었다 




반응형